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된 이란의 축구 대표팀으로, 아시안 게임, AFC U-23 아시안컵, 올림픽 예선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한다.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2006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WAFF U-23 챔피언십에서는 2015년 우승, 2023년 준우승을 차지했다. 올림픽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으며,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2016년 8강이 최고 성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축구 -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은 1992년 FIFA 풋살 월드컵에서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AFC 풋살 아시안컵 12회 우승, FIFA 풋살 월드컵 2016년 3위를 기록한 아시아 풋살 강호이다. - 이란의 축구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9년 혁명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2004년 재창단되어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세 차례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진출, 히잡 착용 문제와 훈련 및 지원 부족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발전 과정에 있으며 사회적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 아시아의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일본인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아시안 게임 우승 및 올림픽 4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 우승 등 국제 대회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 아시아의 U-23 축구 국가대표팀 - 라오스 U-23 축구 국가대표팀
라오스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오스를 대표하는 23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시안 게임과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4강 진출과 2018년 아시안 게임 첫 승을 기록했으나, 대부분의 대회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는 하혁준 감독이 이끌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FIFA 트리그램 | IRN |
별칭 | 팀 멜리 오미드 (희망 국가대표팀) |
협회 | FFIRI |
홈 경기장 | 아자디 스타디움 |
첫 경기 | 이란 2–1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쿠웨이트; 1977년 12월 3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이란 10–0 아프가니스탄 (부산, 대한민국; 2002년 9월 28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이란 2–6 일본 (테헤란, 이란; 2001년 2월 9일) |
주장 | 호세인 호세이니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_irn19h |
홈 유니폼 하의 패턴 | _irn19h |
홈 유니폼 양말 패턴 | _irn19h |
홈 유니폼 상의 색상 | FFFFFF |
홈 유니폼 하의 색상 | FFFFFF |
홈 유니폼 양말 색상 | FFFFFF |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 | _irn19a |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 | _irn19a |
원정 유니폼 양말 패턴 | _irn19a |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 | EC0000 |
원정 유니폼 하의 색상 | EC0000 |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 | EC0000 |
아시아 축구 연맹 U-23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4 |
첫 출전 | 2013 |
최고 성적 | 8강 (2016) |
아시안 게임 | |
출전 횟수 | 6 |
첫 출전 | 2002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asia.svg|16px]] 금메달 (2002) |
서아시아 축구 연맹 U-23 챔피언십 | |
금메달 | 2015 |
은메달 | 2023 |
서아시아 경기 대회 | |
금메달 | 1997 테헤란 |
은메달 | 2002 쿠웨이트 시티 |
동메달 | 2005 도하 |
2. 역사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역사를 시작했다. 이후 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카타르 도하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란은 FIFA의 국제 축구 대회 참가 금지 징계에도 불구하고 아시안 게임에 참가할 특별 허가를 받았다.[2][3]
2. 1. 와일드카드
아시안 게임 축구는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23세 이상 선수 3명을 와일드카드로 추가할 수 있다. 이란은 2002년, 2006년, 2010년,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 이 제도를 활용했다.대회 | 와일드카드 1 | 와일드카드 2 | 와일드카드 3 |
---|---|---|---|
2002 아시안 게임 | 알리 다에이 (주장) | 야히아 골모하마디 | 에브라힘 미르자푸르 (골키퍼) |
2006 아시안 게임 | 하산 루드바리안 (주장/골키퍼) | 아라시 보르하니 | 자랄 호세이니 |
2010 아시안 게임 | 메흐디 라흐마티 (주장/골키퍼) | 골람레자 레자에이 | 자랄 호세이니 |
2022 아시안 게임 | 호세인 호세이니 (주장/골키퍼) | 아미르 아르살란 모타하리 |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AFC U-23 아시안컵, 아시안 게임, 서아시아 U-23 챔피언십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 올림픽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2024년 파리 올림픽까지 U-23 대표팀은 올림픽 본선 진출에 모두 실패했다.[4]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 기록 올림픽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경기 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1992년 예선 탈락 8 5 2 1 19 6 1996년 4 2 1 1 9 4 2000년 4 1 1 2 3 6 2004년 6 3 0 3 22 9 2008년 6 1 2 3 6 7 2012년 4 1 1 2 1 5 2016년 8 5 0 3 21 9 2020년 6 3 2 1 9 4 2024년 3 2 0 1 7 1 총계 — 0/9 – – – – – – 46 21 9 16 90 50
=== AFC U-23 아시안컵 ===
AFC U-23 아시안컵(구 AFC U-22 챔피언십)에는 2014년 대회를 시작으로 총 4번 출전하여 2016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1]연도 결과 경기 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2014년 조별 리그 3 1 1 1 6 5 2016년 8강 4 2 0 2 6 7 2018년 예선 탈락 2020년 조별 리그 3 1 1 1 3 3 2022년 조별 리그 3 0 2 1 3 4 2024년 예선 탈락 합계 4/6 13 4 4 5 18 19
=== 아시안 게임 ===
아시안 게임에는 총 6번 출전하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결승에서 일본을 상대로 승리),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5]
아시안 게임 축구는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23세 이상 선수 3명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란은 2002년, 2006년, 2010년,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 "와일드카드"로 알려진 세 명의 선수를 활용했다.대회 와일드카드 1 와일드카드 2 와일드카드 3 2002 아시안 게임 알리 다에이 (주장) 야히아 골모하마디 에브라힘 미르자푸르 (골키퍼) 2006 아시안 게임 하산 루드바리안 (주장/골키퍼) 아라시 보르하니 자랄 호세이니 2010 아시안 게임 메흐디 라흐마티 (주장/골키퍼) 골람레자 레자에이 2022 아시안 게임 호세인 호세이니 (주장/골키퍼) 아미르 아르살란 모타하리 개최년도 결과 경기 수 승 무 패 득점 실점 2002 우승 6 4 2 0 16 2 2006 3위 6 4 1 1 10 6 2010 4위 7 5 0 2 14 8 2014 조별리그 탈락 2 0 1 1 2 5 2018 16강 4 1 1 2 3 4 2022 8강 5 3 1 1 9 1 합계 6/6 30 17 6 7 54 26
=== 서아시아 U-23 챔피언십 ===
서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시절이던 2015년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했지만,[1]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넘어가면서 더 이상 이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는다.[2]개최년도 결과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2015 우승 4 3 1 0 8 3 합계 1/1 4 3 1 0 8 3
3. 1. 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2024년 파리 올림픽까지 U-23 대표팀은 올림픽 본선 진출에 모두 실패하였으며, 예선에서 탈락했다.[4]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 기록 | 올림픽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년 | 예선 탈락 | 8 | 5 | 2 | 1 | 19 | 6 | |||||||
1996년 | 4 | 2 | 1 | 1 | 9 | 4 | ||||||||
2000년 | 4 | 1 | 1 | 2 | 3 | 6 | ||||||||
2004년 | 6 | 3 | 0 | 3 | 22 | 9 | ||||||||
2008년 | 6 | 1 | 2 | 3 | 6 | 7 | ||||||||
2012년 | 4 | 1 | 1 | 2 | 1 | 5 | ||||||||
2016년 | 8 | 5 | 0 | 3 | 21 | 9 | ||||||||
2020년 | 6 | 3 | 2 | 1 | 9 | 4 | ||||||||
2024년 | 3 | 2 | 0 | 1 | 7 | 1 | ||||||||
총계 | — | 0/9 | – | – | – | – | – | – | 46 | 21 | 9 | 16 | 90 | 50 |
3. 2. AFC U-23 아시안컵
AFC U-23 아시안컵(구 AFC U-22 챔피언십)에는 2014년 대회를 시작으로 총 4번 출전했다. 최고 성적은 2016년 대회의 8강 진출이다.[1]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4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6 | 5 |
2016년 | 8강 | 4 | 2 | 0 | 2 | 6 | 7 |
2018년 | 예선 탈락 | ||||||
2020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3 | 3 |
2022년 | 조별 리그 | 3 | 0 | 2 | 1 | 3 | 4 |
2024년 | 예선 탈락 | ||||||
합계 | 4/6 | 13 | 4 | 4 | 5 | 18 | 19 |
3. 3. 아시안 게임
이란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안 게임에 총 6번 출전했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결승에서 일본을 상대로 승리),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5]아시안 게임 축구는 23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23세 이상 선수 3명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란은 2002년, 2006년, 2010년,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 "와일드카드"로 알려진 세 명의 선수를 활용했다.
대회 | 와일드카드 1 | 와일드카드 2 | 와일드카드 3 |
---|---|---|---|
2002 아시안 게임 | 알리 다에이 (주장) | 야히아 골모하마디 | 에브라힘 미르자푸르 (골키퍼) |
2006 아시안 게임 | 하산 루드바리안 (주장/골키퍼) | 아라시 보르하니 | 자랄 호세이니 |
2010 아시안 게임 | 메흐디 라흐마티 (주장/골키퍼) | 골람레자 레자에이 | |
2022 아시안 게임 | 호세인 호세이니 (주장/골키퍼) | 아미르 아르살란 모타하리 |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2 | 우승 | 6 | 4 | 2 | 0 | 16 | 2 |
2006 | 3위 | 6 | 4 | 1 | 1 | 10 | 6 |
2010 | 4위 | 7 | 5 | 0 | 2 | 14 | 8 |
2014 | 조별리그 탈락 | 2 | 0 | 1 | 1 | 2 | 5 |
2018 | 16강 | 4 | 1 | 1 | 2 | 3 | 4 |
2022 | 8강 | 5 | 3 | 1 | 1 | 9 | 1 |
합계 | 6/6 | 30 | 17 | 6 | 7 | 54 | 26 |
3. 4. 서아시아 U-23 챔피언십
서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시절이던 2015년 대회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 정상에 등극했지만[1] 2015년 대회 이후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넘어가면서 더 이상 이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는다.[2]WAFF U-23 챔피언십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15 | 우승 | 4 | 3 | 1 | 0 | 8 | 3 |
2021 | WAFF 회원국이 아님 | ||||||
2022 | |||||||
2023 | 준우승 | 4 | 1 | 3 | 0 | 5 | 3 |
합계 | 2/4 | 8 | 4 | 4 | 0 | 13 | 6 |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5 | 우승 | 4 | 3 | 1 | 0 | 8 | 3 |
합계 | 1/1 | 4 | 3 | 1 | 0 | 8 | 3 |
4. 경기 결과 및 일정
(승부차기 4-3)
(승부차기 4-5)